이랜드복지재단 | '존엄한 한 끼'가 써 내려간 오병이어 기적 …아침 급식 불가능 편견 깼다 | 2025-07-22 |
---|---|---|
첨부파일 | 이랜드복지재단.jpg | |
'존엄한 한 끼'가 써 내려간 오병이어 기적 …아침 급식 불가능 편견 깼다
서울역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 개소 1주년 취약계층 17만 명 다녀가 "이 시대 가장 소외된 이웃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긴다" 비전
아침애만나, 개소 1년… 누적 봉사자 1만명, 이용자 17만 명 돌파 인천경기 '마가공동체' 5개 교회 매일 새벽 봉사 이어가
"섬기는 교회들이 먼저 오병이어 기적 경험" 고백 이랜드 최종양 부회장, "존엄한 한 끼는 누구에게는 세상을 마주할 용기" 아침애만나 2호점 계획… 교회 중심 민간협력 나눔모델 자리매김
서울역 인근 쪽방촌 주민들에게 '존엄한 한 끼' 아침 무료급식을 제공해 온 아침애만나가 15일 개소 1주년을 맞아 감사예배를 드렸다. 아침애만나 개소 1년만에 쪽방촌 주민 17만 명(누적)이 다녀갔다. 송주열 기자
"여기까지 인도하셨네 감사하신 하나님"
서울역 인근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 '존엄한 한 끼'를 제공해 온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가 개소 1주년 기념 감사예배를 드렸다.
아침애만나는 이랜드복지재단(대표 정영일)이 마가공동체 교회들과 함께 운영하는 무료급식소로 지난해 7월 문을 열었다.
아침 무료급식은 '오래 못간다', '불가능하다'는 부정적 시선을 이겨낸 아침애만나는 날마다 오병이어의 기적을 써내려가고 있다.
아침애만나 무료급식소는 100% 민간 기부와 100% 자원봉사자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공공예산에 의존하지 않고 교회와 개인, 단체의 후원과 봉사로 운영되는 보기 드문 급식소이다.
지난 1년 동안 아침애만나를 지속적으로 후원한 개인 후원자는 100여명에 달하고, 누적 봉사자 수가 1만 명을 넘어섰다. 장기 불황에도 4억 5천만 원 규모의 후원금과 물품이 답지했다.
아침애만나에서 '존엄'을 서비스 받은 노숙인과 독거노인, 쪽방촌 주민은 연간 누적 17만 명을 넘어섰다.
하루 평균 600명이 넘는 이들에게 양질의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필그림교회와 인천방주교회, 일산방주교회, 길튼교회, 마가의다락방교회 등 인천, 경기지역 5개 교회 봉사팀의 헌신이 큰 힘이 됐다.
아침애만나 '존엄한 한 끼' 조리와 배식 봉사는 매일 오전 3시부터 시작된다.
아침애만나는 아침 무료급식 후에는 거동이 불편한 쪽방촌 주민들을 찾아 도시락을 직접 전달하고, 저녁에 주 2회 할렐루야교회와 함께하는 '자장면 데이'와 거리 배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필그림교회 김형석 목사는 아침애만나 1주년 감사예배에서 "아침 무료급식은 안 될 거라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지만, 주님께서 이곳 사람들의 이웃이 되겠다고 하니 감동스러운 간증거리를 주셨다"고 말했다.
인천방주교회 강신규 목사는 "아침애만나를 섬기는 마가공동체 교회들이 가장 먼저 오병이어의 기적을 경험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서울역 인근에서 쪽방촌 주민들과 동거동락하는 하늘소망교회 구재영 목사는 "귀중한 한 끼가 삶을 바꾸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시작했고, 그 믿음이 지금 이곳을 지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침애만나가 식사만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아침 식사 후에는 인천 필그림교회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우쿠렐레 수업과 알코올중독 상담, 법률 상담을 진행한다.
하늘소망교회는 생계와 주거, 의료, 취업 상담을 연계해 취약계층의 사회 복귀를 돕는다.
"아침애만나요".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 1주년 기념예배에 참석한 이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송주열 기자
아침애만나 1주년 기념 감사예배에는 이랜드그룹 관계자와 이랜드복지재단, 서울시 관계자, 개인 후원자, 후원단체 관계자들이 아침애만나 식당을 가득 메웠다.
이랜드그룹 최종양 부회장은 "3년 전 이랜드그룹은 이랜드복지재단과 함께 이 시대 가장 소외된 이웃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긴다는 사업을 놓고 기도했고, 1년 전 이곳에서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최 부회장은 "존엄한 한 끼는 누구에게는 세상을 마주할 용기, 내일을 꿈꾸며 다시 일어날 희망"이라며, "매일 아침 기적을 위해 헌신과 수고를 아끼지 않은 동역자와 후원자, 마가공동체 성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고 전했다.
이랜드복지재단은 앞으로 다문화 가정과 이주노동자, 위기 청소년들을 위한 '아침애만나' 2호점을 계획하고 있다.
이랜드복지재단 정영일 대표는 "아침애만나는 단순한 끼니 제공을 넘어 이랜드복지재단이 추진하는 긴급 위기지원 프로그램 'SOS 위고(SOS WE GO)'의 철학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재단은 앞으로도 취약계층에게 존엄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 민간 협력 나눔 모델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